반응형
맥북에서 터미널을 이용,
명령어로 파이썬과 주피터 노트북을 설치해보자!
맥북의 Launchpad를 누른 후,
터미널을 오픈하자.
터미널을 연 후,
코드 내 명령어를 복사하여 붙여 넣으면,
Mac에서 패키지를 설치하고 관리하는 툴인
Homebrew가 설치된다.
/bin/bash -c "$(curl -fsSL https://raw.githubusercontent.com/Homebrew/install/HEAD/install.sh)"
설치가 완료되면,
brew가 잘 작동하는지 확인하자.
아래 명령어를 입력한다.
brew --version
해당 명령어를 입력했는데
zsh: command not found: brew 라는 오류가 발생한다면,
경로가 잡히지 않아서 그렇다.
echo 'eval "$(/opt/homebrew/bin/brew shellenv)"' >> ~/.zprofile
eval "$(/opt/homebrew/bin/brew shellenv)"
이 때, 위의 명령어를 입력하면 된다.
다시 한번
brew --version
를 입력하면 정상적으로 해결 됬음을 확인할 수 있다.
이제 파이썬을 설치해보자.
터미널에 아래 명령어를 입력한다.
brew install python
명령어를 입력하면,
자동으로 설치가 완료된다.
설치가 완료되면,
python3 --version
으로 설치가 정상적으로 되었는지 확인한다.
이제
주피터 노트북을 설치한다.
pip3 install notebook
명령어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설치가 완료된다.
설치가 완료되면,
아래 명령어로 주니퍼 노트북을 실행할 수 있다.
jupyter notebook
zsh: command not found: jupyter 라고 나온다면,
PAHT를 잡아보자.
which jupyter
를 입력해보고.
아무것도 안나온다면, 아래에 따라 경로를 잡아줘야한다..
아래 명령어로,
경로를 잡아주자.
echo 'export PATH="$HOME/Library/Python/3.9/bin:$PATH"' >> ~/.zshrc && source ~/.zshrc
해결 완료.
필요하다면
주피터 랩도 설치해보자.
pip3 install jupyterlab
jupyter lab
설치 및 실행 완료!
반응형
'프로그래밍 공부 > pyht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맥북에서 주피터 랩 GUI 버전을 설치해보자 - Install the JupyterLab GUI App (jupyterlab-desktop) on macOS (0) | 2025.04.08 |
---|---|
파이썬 데이터 분석 - Seaborn을 활용한 고급 데이터 시각화 (0) | 2025.03.18 |
파이썬 데이터 분석 - Pandas를 활용한 데이터 시각화 (0) | 2025.03.14 |
파이썬 데이터 분석 - Pandas를 활용한 데이터 전처리 (0) | 2025.03.14 |
파이썬 데이터 분석 - NumPy와 Pandas 기초 (0) | 2025.03.13 |